# 글 옮겨온글-공개

독도 지하원 가치

푸른들판 2011. 9. 14. 20:22

 

독도 지하자원 가치

 

일본이 독도에 관심을 갖는 진짜 이유

 

독도주변 해역에 천연 가스층이 존재한다

 

1997년 12월 러시아과학원 소속 무기화학 연구소에서 연구중인 경상대 화학과의 백우현 교수는 연구소장 쿠즈 네초프(Kuznetsov)로부터 '한국의 동해바다 한 지점에 붉은 색으로 하이드레이트 분포 추정지역임을 분명히 표기 하고 있는 지도'를 선물로 받았다.(신동아, 98년 9월호)

 

'하이드레이트'란 메탄이 주성분인 천연가스가 얼음처럼 고체화된 상태로서, 기존 천연가스의 매장량보다 수십배 많은데다가 그 자체가 훌륭한 에너지 자원이면서도 석유자원이 묻혀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시자원'이라고 한다.

 

98년 5월 백우현 교수가 러시아를 재방문했을 때 '동해에 관련된 하이드레이트의 자세한 정보'를 부탁하자, 쿠즈 네초프 소장은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답변을 했다고 한다. 『우리 연구소 규칙상 공개할 수 없는 자료입니다. 그런데 일본이 동해의 독도영유권을 끈질기게 주장하고 있 다지요?』. 신동아는 이 부분의 이야기를 매우 충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 일본이 한국의 영토인 독도를 자기네들 땅이라고 우겨온 중요한 이유가 동해상의 풍부한 해양자원 확 보를 염두에 둔 전략이라는 항간의 소문이 근거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이기 때문이란다.

 

현재 하이드레이트의 개발수준은 그 매장량이 막대한데도 개발기술이 초보단계이므로 러시아 만을 제외하고 상 업적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일본은 하이드레이트층에 대한 매우 축척된 탐사자료를 통해 99년 11월에는 난카이 해구에서 시험생산체계에 돌입한다고 한다.

 

1997년 기준 우리의 원유소비량은 전세계6위이며, 원유 수입량은 세계 4위이며,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는 97.8%라고 한다.(신동아 98년 9월호. 1997년 에너지 경제연구원) 이러한 이유로 정부는 1970년부터 30만㎢에 달하는 대륙붕에 7개의 광구를 설정하여 해저탐사를 벌여왔으며, 실제 89년과 93년에는 비록 경제성이 미흡했지만 동해중심해역에서 가스층이 발견되었으며, 최근 98년 7월 27일에 는 울산 남동쪽 50km 해상의 대륙붕에서 이전의 것과 비교 안되게 뛰어난 천연가스층이 발견되었다.

 

실제 국내 대륙붕 및 인접 중국과 일본의 석유 발견지점을 지도를 보면, 동중국해에서 동북방향으로 울산남동 쪽을 거쳐 독도인근해역을 거쳐 일본 서부연안을 향해 유전지대가 펼쳐진다고 한다. 30만㎢의 광할한 대륙붕에서 단지 30개의 시추공만을 꽂았을 뿐이며(일본은 38만㎢의 대륙붕에서 175개의 시추 공을 꽂았다고 한다), 이중 12개는 외국계회사가 국내에 석유를 팔려면 의무적으로 한반도 대륙붕에서 석유를 탐 사해야 한다는 의무조항 때문에 그나마 형식적으로 시추공을 박았다고 한다.

 

금번 러시아 과학원의 연구소에서 제공한 동해의 '하이트레이트층' 의 분포추정 지도나 석유발견지도의 경향을 보았을 때 독도주변해역의 해양석유자원의 보유가능성은 매우 명확하다고 하며, 그 경제적인 가치 또한 매우 높다 고 한다.

 

 

 

독도의 역사연표

 

연도 대한민국의 독도 역사 일본의 독도 침략사례

_512 6 / (지증왕 13년)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 신라영토에

귀속 (독도, 우산국의 영토)

 

 

 

 

_930 고려태조 13년 고려에 귀속

 

 

 

 

1032 동북여진 해적의 침입 주민의

대부분이 본토로 이주

 

 

 

 

1141 (인종 19)에는 명주도감창사

(溟州道監倉使) 이양실(李陽實)이

관원을 파견

 

 

 

 

1157년 (의종 11)에는 본토인을 이주시킬

목적으로 명주도감창 전중급사

김유립(金柔立)을 파견

 

 

 

 

1197 증보문헌비고, 여지지

 

 

 

 

1401 공도정책

 

 

 

 

1417 (조선 태종)

왜구의 침략을 우려하여

무릉도(울릉도)·우산도(독도) 에

공도정책실시

 

 

 

 

1425 우산도로 호칭

 

 

 

 

1454 세종실록지리지 편찬

 

 

 

 

1469 삼봉도로 호칭

 

 

 

 

1531 신증동국여지승람 팔도총도

 

 

 

 

1618 일본 무라까와, 오타니 두 가문

불법 울릉도 출어, 벌복채취시작

 

 

 

 

1667 齋藤豊仙의 은주시청합기

(隱州視聽合記)

 

 

 

 

1693 자산도로 호칭, 안용복사건

 

 

 

 

1697 일본 도쿠가와 막부, 안용복의 활약으로 일본인의 울릉도. 독도 불법

출항을 금지하겠다는 문서를 보내옴

 

 

 

3 / 3년마다 정기적인 치안확보

 

 

 

일본 도쿠가와 막부, 안용복의 활약

으로 일본인의 울릉도. 독도 불법

출항을 금지하겠다는 문서를 조선에

보냄.

 

 

 

 

1714 강원도 어서 조석명의 보고

 

 

 

 

1794 한창국의 울릉도 유민 수색 보고서

 

 

 

 

1849 프랑스의 리앙쿠르트호가

리앙쿠르트로 명명

 

 

 

 

1881 척민정책.

일본어민의 울릉도출어에 엄중항의

 

 

 

 

1882 공도정책의 철회

 

 

 

 

1883 4 / 각 도로부터 모집한 16호 54명을

울릉도에 입거(入居)

 

 

 

 

1895 1 / 약 200년간 계속되어온 수토제도를

폐지

 

 

 

 

1898 5 / (광무 2) 5월에 울릉도에 도감을

두도록 지방관제를 개칭

 

 

 

 

1900 10 /15 칙령 제 41호 공포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하고, 군청의 관할구역에 석도(독도)를 포함시킴.

 

 

 

 

1903 울릉도 - 2대 심홍택군수가 취임

 

 

 

 

1904 8 / 한일협정서 성립

 

 

 

 

1905 1 / 28 일본 내각회의, 독도가 무주지 이므로 일본영토로 편입한다는 결정.

2 / 22 일본이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로

영토로 편입.

4 / 14 시마네현, 현령 제18호로 독도에서의 강치포획에 대한 허가제 채택.

6 / 4 독도에서의 강치잡이 어업이권을

中井養三郞에게 허가.

8 / 19 러일전쟁중 러시아 함대를 감시할

목적으로 '독도망루' 설치하여

일본해군 6명 상주

 

1906 4 / 울도군수 심흥택의 보고

 

 

 

 

1907 경상북도 울도군으로 편제

 

 

 

 

1910 한국수산지 제1호 제1편에

한국령 표기

 

 

 

 

 

1943 12 / 1 카이로 선언

 

 

 

 

1945 9 / 27 맥아더라인

 

 

 

 

1946 1 / 29 연합군 최고사령관 훈령 677호

(SCAPIN No 677)

 

 

 

 

1947 8 / 울릉도,독도 종합학술조사 /1차

 

 

 

 

1948 6 / 미공군 폭격연습중 독도 출어중인

어민 30명 희생.

당시 독도는 미군의 폭격연습장

12대의 미군비행기가 양민 150명∼320명 사상.

 

 

 

8 / 15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동시에

경상북도 울릉군 남면도동 1번지로

행정구역이 편입

 

 

 

 

 

1951 독도 조난어민 위령비 건립

 

 

 

 

1952 1 / 18 이승만 대통령

'인접해양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

 

 

 

1 / 28 일본정부 다께시마 영유권 주장

 

 

5 / 28 일본 시마네현 어업시험장 소속

시험선 '시마네마루'호 독도영해

침범

6 / 25 일본 수산시험선(미국기 게양) 1척

독도상륙.

8 / 10 일본인 9명이 독도(동도)에 입도하여 '독도 조난 어민 위령비' 파괴.

"도근현 은기촌 죽도"라는 푯말 세움. 건립즉시 제거

 

1953 미공군 연습기지에서 제외

 

 

 

4 / 27 독도의용수비대 창설

7 / 독도의용수비대 독도에 상주

8 / 5 영토비 건립

6 /19 시마네현, 해방 이후에도 현 어민들에게 독도에 대한 어업허가권 발부

일본이 조난어민 위령비 철거.

일본영유표지 설치

 

 

 

 

1954 8 / 1 항로표지(등대)설치. 각국통보

 

 

 

8 / 15 독도 등대를 점등

9 / 15 체신부, 독도풍경 우표 발행

8 / 23 일본 해상보안청 소속 순시선

'陰崎'호 1척, 영해침범.

독도의용수비대와 총격전 끝에 퇴각.

 

 

11 / 19 독도 도안 우표가 부착된 한국 우편물을 반송하기로 의결

 

1956 4 / 8 국립경찰이 경비임무 인수

 

 

12 / 25 독도의용수비대가 완전히 철수

경북경찰청 울릉경찰서에 독도수비 업무 인계.

 

1959 8 / 시마네현 총무부장, 독도 인광채굴에 대한 광구세와 연체금을 자국국민들에게 부과.

 

 

 

8 / 28 인광채굴권자, 합계금 35,480엔을

시마네현에 납부.

9 / 28 일본 극우단체(도쿄히비야)에서

24개의 극우단체가 '독도돌격대'

조직. 3척의 철선과 150명의 인원

으로 독도탈취를 기도하다 실패.

 

1961 ~1962 국립건립연구소에서 지형도 작성을

위한 평판측량을 실시 / 축척 1:3.000

지형도 제작

 

 

 

 

11/ 9 동경지방재판소,

인광채굴권자에게 광구세 부과 판결.

 

 

 

 

1976 8 / 2차 학술연구조사

 

 

 

 

1977 1 / 31 독도경비대 개편

 

 

9 / 경북대학교 주관 3차 학술연구조사

 

1978 한국사학회 <울릉도 및 독도 종합

학술조사보고서>

 

 

 

 

1980 5 / 건설부 국립지리원에서 대형지형도

제작

 

 

 

 

1981 10 / 14 최종덕 독도전입

 

 

한국자연보존협회 주관 4차

학술연구조사 실시

 

1982 11 /16 '독도 해조류 번식지'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

 

 

 

 

1986 7 / 8 조준기 독도전입

 

 

 

 

1987 독도 최초 호적 등재 1호

송재욱(宋在郁) 씨

 

 

 

 

1988 7 ~ 8 1차 울릉도~독도 뗏목탐사 성공

(한국외대 독도연구회)

 

 

 

 

1989 푸른독도가꾸기 모임 결성

 

 

 

 

1991 11 / 김성도 독도전입

 

 

 

독도 일반전화 개통.

054-791-1991,1227 (독도경비대)

 

1992 KBS 독도 다큐멘터리 제작팀

'독도365일' 프로그램제작

 

 

 

4 / 일본 극우단체(대일본정의국수회)

행동대원 2명이 주일한국대사관에

난입. '다께시마는 우리땅'이라며

난동 부림.

 

 

 

 

1993 레이다기지 설치

 

 

 

 

1995 생태계 보호대상지로 지정

 

 

 

 

1996 접안시설공사 착공

 

 

2 / 13 독도경비대 증강

6 / 27 경북경찰청 울릉경비대가 경비임무를 인수

2 / 9 일본외상 영유권 천명.

 

 

 

10/20 일본자민당, 독도. 조어도. 쿠릴열도 확보를 총선 공약으로 내세움

 

1997 8 / 8 약수공원에 독도박물관

(관장 이종학) 개관

 

 

 

11 /24 독도접안시설 준공

 

동도에 접안시설 준공.

접안능력 500톤급.

총사업비 172억 4천3백만원.

면적 569평.

 

12 / 어업인숙소 1동을 서도에 준공

12 /13 법률 제5447호로 '독도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존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

 

 

1998 9 / 한국 일본 양국

'신한일어업협정'에 서명.

 

 

 

1 / 일본, 65년 한일어업협정 일방파기.

일본, 독도주변해역에 해저광케이블 설치공사

 

 

 

11/ 일본자위대, '동해의 한섬'을

가장한 적 점령섬 양륙훈련 실시

 

1999 12 / 일본인 독도로 호적이전 사실 확인.

6가구 7명

 

 

 

 

2000 1 / 19 독도 호적 이전 - 30가구 103명

4 / 독도리(里)로 행정구역 승격

 

울릉군 의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산42∼76번지에서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1∼37번지"로 행정구역 변경.

 

6 / 5 독도 유람선 '동해호' 출항 시작

6 / 20 독도 사진집 '독도' 발간

(독도수호대)

위성 인터넷 장비 설치

7 / 4 독도 최초 공시지가 산정

8 / 15 한나라당 의원 광복 55주년

독도 기념방문

www.cybertokdo.com Open

8 / 24 울릉도 ~ 독도 뗏목탐사 (독도수호대)

8 / 30 '독도는 우리 땅' 노래비 건립

10/ 20 독도 가스田 탐사,

산자부 北대륙붕 유전개발 기초연구 시작 (1904년 까지 계속될 예정)

11/ 28 국회 독도사랑모임 에서 사이버독도

(www.cybertokdo.com) 표창

5 / 9 일본 외무성, 2000년판 외교청서

독도 고유영토설 주장.

 

 

 

7 / 7 데라다 데루스케 주한일본대사,

월간중앙과의 인터뷰에서

"독도는 일본고유의 영토 주장".

9 / 19 일본 총리 모리 요시로 KBS 보도

제작국 취재진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다케시마(독도) 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주장"

9 / 21 일본 우익단체들 방일중인 김대통령 숙소 앞에서 '일본영토 다케시마 탈환' 등의 내용으로 차량시위를 벌임

김대중 대통령 숙소 침입 시도.

 

2001 1 / 2 독도 호적 이전 -147가구 527명

3 /30 독도 호적 이전 -159가구 557명

5 / 4 해양수산부 - 독도박물관 국비 지원

독도박물관 현재까지 24만명 방문

5/ 27 독도수호대 창립총회 후 귀경길

교통사고로 사이버국장 김제의,

총무 이미향 씨 사망

7 / 23 환경부 - 독도 생태계 종합조사 실시

 

 

출처 : http://www.cybertokdo.com/new-design/html/sub-15-01.html